로와지식

2024년 출산 혜택 정리 (지원금 양육 육아 정책)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소개해드렸던 2024년 임신 혜택에 이어 출산 이후 받으실 수 있는 2024년 출산 혜택을 모두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임신혜택 알아보기 ▶2024년 임신 혜택 총 정리 (한 번에 확인)

 

2024년 임신 혜택 총 정리 (한번에 확인)

2024 임신 혜택임신 또는 출산을 하게되면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혜택이 굉장히 많습니다. 하지만 매년 혜택이 변경되고 개선되다 보니 정작 내 아이가 태어나는 해 기준으로 정확한 혜택을 찾아

rowwideknowledge.tistory.com

 

출생 신고를 하시고 나면 한번에 신청을 할 수 있는 출산 혜택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정부 24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을 하시거나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셔서 오프라인으로도 신청을 할 수가 있는데요.

 

본인이 신청을 하지 않는다면 받을 수 없는 혜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오늘 소개해드리는 다양한 지원 혜택을 놓치지 말고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2024년 출산 혜택 총 정리 문구가 그려진 이미지

 

2024년 출산 혜택 (정부)

지금부터 소개해드리는 7가지의 서비스들은 출생신고를 하시거나 하고 난 뒤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는 정부 서비스들입니다. 때문에 따로따로 신청을 하시는 것보다는 한 번에 신청을 하시는 것이 가장 편리하니 이점을 생각하시고 서비스를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1. 첫만남 이용권

출산한 모든 산모들에게 지급되는 혜택으로 사용 중이신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포인트로 지급이 됩니다.

 

지원 금액

첫째 200만원, 둘째 300만 원, 쌍둥이 400만 원, 삼둥이 600만 원

 

사용 기간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 장소

산부인과, 소아과, 조리원,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 대부분 사용가능하지만 유흥 목적, 미용실 등 몇몇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2. 출산 지원금

전국적으로 지원금이 지원되기는 하지만 지역구별로 지원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보건소나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홈페이지'를 통해 지원금액을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200~300만 원 지원됨.)

 

출산 지원금 지원 금액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홈페이지 > 출산 > 출산 지원금 리스트에서 본인이 거주하시는 구 항목 상세 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3. 부모 급여 혜택

지급 금액

2023년에는 매월 70만 원이 지급되었으니, 2024년도부터는 매월 100만 원씩 지원이 됩니다. (만 1세 아도으이 경우는 매월 50만 원 지급됩니다.)

 

지급 방식

부모 또는 자녀 이름으로 개설된 통장에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신청 기간

아이의 출생 이후 60일 이내로 신청을 하셔야 하기 때문에 해당 기간을 반드시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4. 양육 수당

아이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지 않는 경우에만 지급되는 금액으로 23개월까지는 부모급여로 지급되고, 24개월부터는 최대 86개월까지 매달 10만 원씩 지급됩니다.

 

5. 아동 수당

부모 급여 및 양육수당을 받고 있는 경우에도 중복으로 지원이 가능한 지원금으로 매월 10만원씩 만 8세 미만까지 지원됩니다.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교, 가정보육 상관없이 모두 지급해 주는 지원금 형태입니다.)

 

6.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사업

산모 또는 배우자의 해당 가구에 건강 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출산가정이 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으로 산모건강관리(영야관리, 체조지원), 신생아 건강관리, 산모 식사준비, 산모 신생아 세탁물 관리 및 청소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기간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 장소 

산모의 주소지 관할 시, 군, 구 보건소 또는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신청 가능합니다.

 

 

7. 아이 돌봄 서비스

만 12 이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보미들이 돌봄 장소(집 등)에 직접 찾아가서 돌봄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둘 다 육아휴직을 하면 신청할 수 없었지만 2024년부터는 쌍둥이 이상의 경우는 부모가 둘다 육아휴직을 하더라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합니다. (실시간으로 확인 필요)

 

 

아이 출생신고 이후(주민번호 생성 후) 신청가능한 서비스

1. 어린이집 입소 대기 신청

 

2. 전기세 감면 신청

한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출생일로부터 만 3세까지는 전기요금에 최대 30% 감면(최대 16,000원) 혜택을 지원합니다.

 

한전 홈페이지나 대표 전화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고, 아파트의 거주 시 관리사무소에 반드시 해당 사실을 고지하셔야 합니다. (관리사무소를 통해 신청이 가능한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3. 유축기 대여 서비스

지자체별 보건소에서 유축기를 대여해 줍니다. 단 많은 인원이 유축기를 대여할 경우 대기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출산 직후 또는 조리원에서 미리 대여신청을 해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육아휴직제도 소개 (6+6 육아휴직 급여)

2024년도에는 육아휴직제도가 대폭 변경되었습니다. 6+6 육아휴직제도라고 자녀가 태어난 후 18개월 안에 부모가 모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때 첫 6개월에 대해서는 부모 각각의 육아휴직 브여 상한을 높여서 지급하는 제도 입니다.

 

말로는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니 아래 표를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엄마 1개월 + 아빠 1개월 각각 최대 월 200만원 지원(통상임금의 100%)
엄마 2개월 + 아빠 2개월 각각 최대 월 250만원 지원(통상임금의 100%)
엄마 3개월 + 아빠 3개월 각각 최대 월 300만원 지원(통상임금의 100%)
엄마 4개월 + 아빠 4개월 각각 최대 월 350만원 지원(통상임금의 100%)
엄마 5개월 + 아빠 5개월 각각 최대 월 400만원 지원(통상임금의 100%)
엄마 6개월 + 아빠 6개월 각각 최대 월 450만원 지원(통상임금의 100%)

 

이렇게 6개월간 최대 3900만원이 지급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