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와지식

종부세 계산기: 종합부동산세 및 재산세

종부세 계산기

오늘은 특별히 종부세 계산기 이용 방법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종부세를 계산하려면 주택 취등록세 오율표를 기준으로 주택 금액에 따라 세율과 누진공제액을 다르게 계산하여야되기때문에 직접 계산하기엔 너무 머리가 아프고 복잡한 상황이 올 수 있는데요. 이럴때 이 곳을 이용하시면 간단하게 주택 금액만 입력하시면 바로 종부세를 확인하실 수 있으니, 꼭 한번 하단 종부세 계산기를 이용해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종부세 계산기 및 종부세 계산기 사용법

종부세를 계산기는 굉장히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하실 수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 가장 정확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생각되는 종부세 계산기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종부세는 물론 보유세에 해당하는 재산세까지 한눈에 확인해 보실 수 있으며, 2020년도 세법개정 기준으로 반영되어 있어 금액만 입력하시면 바로 현재 기준의 종부세 및 재산세를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하단계산기를 같이 이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부세 계산기 사이트

저희가 사용할 계산기는 ezb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종부세 계산기 입니다. 포탈사이트에서 ezb 종부세 계산기로 검색 시 최상단에서 노출되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해당 사이트를 접속해 줍니다.

 

 

 

그럼 종합부동산 계산에 대한 설명 / 주의사항 / 세법 개정 등을 먼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각 탭을 선택하셔서 자세한 설명, 주의사항, 세법개정 등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설명영역 아래영역을 확인해 주시면 저희가 탖던 종부세 계산기가 노출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가장 상단에 있는 2020년 8월 세법개정 반영 여부를 선택/미선택하여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

 

 

그 뒤 대상 연도를 2019년 / 2020년 / 2021년 중 원하시는 연도로 선택해 줍니다.

 

 

다음은 기본정보에 노출되는 1세대 1주택자영역을 선택/미선택함에 따라 세액공제 영역을 빼거나 추가할 수있습니다. 1세대 1주택자란 부부가 공동으로 주택을 소유하는 경우에는 종합부동산세법상 1세대 1주택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합니다.(공동명의)

 

 

다음으 세부계산 영역의 '세부담 상한 반영'을 선택 또는 미선택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영역을 선택할 경우 직전년도 과세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수있는 영역이 노출되어 해당 금액을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다음으로 자산내역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추가사항 영역을 확인해 보시면 조정대상지역여부와 공동명의 여부를 체크하실 수있습니다. 공동명의를 선택하신경우 지분비율을 추가로 입력하실 수 있는 영역이 노출됩니다.

 

 

다음으로는 공시가격을 입력하는 영역이 노출됩니다. 기준은 만원단위이니 숫자를 단위에 맞게 잘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공시가격 영역을 선택하시면 하단처럼 5억 / 1억 / 5000만 / 1000만 / 500만 / 100만 / 정정 등의 버튼을 제공해 주어 해당 버튼만 선택하여도 자동으로 금액을 입력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단 자산추가 영역에 주택 버튼을 선택하셔서, 추가로 보유하고 계신 주택 정보를 입력해 줍니다. 우측 상단 삭제버튼을 눌러서 해당 추가 영역을 삭제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모든 정보를 입력하셨다면 가장 하단에 있는 계산 버튼을 선택해 줍니다.

 

 

그럼 계산서 영역이 노출되는데 이 곳을 통해 공제금액, 과세표준,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등등 다양한 항목을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URL 저장 / 이미지 고융 / PDF 저장 등의 기능도 함께 제공해 주고 있어 종부세 계산 내용을 간편하게 저장하실 수도 있습니다.

 

 

종부세 계산 기준 및 방법

 

 

종합부동산세 계산의 자세한 설명 입니다.

 

 

다음은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주의사항 입니다.

 

 

마지막으로 종합부동산세의 세법개정 내용입니다.

 

지금까지 종부세 계산기 이용방법이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꿀TIP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