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시계 초시계 사용 방법 (밀리초 서버)
네이버 시계
이번 시간에는 네이버시계 초시계 사용 방법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시계 초시계는 밀리초까지 계산을 할 수 있는 시계로 서버시간을 알 수 있는 가장 편리한 방법이기도 한데요.
서버시간이란 각자 집이나 사이트마다 조금씩 다르게 측정되어 있는 시간 기준이 아닌 가장 표준화된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유명한 가수나 뮤티컬의 티켓팅이나 선착순의 수강신청을 하는 경우 이런 서버시간 기준으로 진행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보니 서버시간 하나만 정확하게 알더라도 각종 티켓팅이나 수강신청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실 수 있는데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인터파크 티켓, 멜론, 예스24, 티켓링크, 옥션 등도 모두 이 서버 시간을 이용해서 티켓 시간이 오픈되고 있으며 각 사이트에 맞는 서버시간을 네이버 초시계를 통해 알아볼 수 있는데요. (기차의 경우 코레일 / srt 서버 시간 확인 가능)
그럼 지금부터 네이버시계 초시계를 활용하여 서버시간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서버시간 이용 방법
1. 네이버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해 줍니다.
2. 네이버 검색창에 '서버시간'을 검색해 줍니다. (혹은 해당 링크로 접속해줍니다.)
3. 노출되는 서버 시간을 확인하시면 '네이버' 표준 서버시간을 밀리초 단위까지 즉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티켓팅에 사용하실 예정이라면 '티켓예매'를 선택해 줍니다.
5. 그 뒤 드랍다운 메뉴를 확인 시 '인터파크/멜론/예스24/티켓링크/옥션' 등의 항목이 노출되는데 티켓팅을 하시려는 사이
트를 선택해 주시면 각 사이트별 서버시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동일한 방식으로 기차는 '코레일/SRT'를 확인해 보실 수 있고 수강신청의 경우 전국에 해당하는 모든 학교를 선택하실 수 있으니 티켓예매, 기차예매, 수강신청등에 유용하게 사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 글과 관련 있는 포스팅
2021.03.02 - [분류 전체보기] - 네이버지도 거리재기 총 정리
네이버지도 거리재기 총 정리
네이버지도 거리재기 네이버지도 거리재기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네이버 거리재기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평소에 가보지 않은 장소로 이동을 하게되면,
rowwideknowledge.tistory.com
알아두면 좋은 꿀TIP